결혼·출산 가정을 위한 최고의 전세 지원 제도
✅ 1. 신혼·신생아 전세임대Ⅰ란?
집을 구할 때 전세 보증금을 한 번에 마련하기 힘들다면?
정부가 대신 전세금을 내주고, 나는 작은 보증금과 월세 수준의 임대료만 내고 살 수 있는 제도가 있어요.
그게 바로 신혼·신생아 전세임대Ⅰ이에요.
👉 쉽게 말해
- LH(한국토지주택공사)가 집주인에게 전세금을 대신 지급
- 입주자는 소액의 보증금 + 저렴한 월 임대료만 부담
- 최대 20년까지 안정적으로 거주 가능
📌 누구에게 좋을까?
✔ 결혼한 지 얼마 안 된 신혼부부
✔ 출산(또는 입양) 2년 이내 가정
✔ 초기 전세자금이 부담스러운 무주택 가정
👶 2.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
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신청할 수 있어요.
👫 기본 조건
- 무주택 세대 구성원
-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 또는 출산·입양 2년 이내 가정
- 소득·자산 기준 충족
📊 2025년 기준 조건
- 월 소득: 도시근로자 평균의 70% 이하 (맞벌이는 90% 이하)
- 총 자산: 3억 3,700만 원 이하
- 자동차: 3,803만 원 이하
💡 팁: 태아가 있는 임신부, 입양 예정자도 신청 가능!
📊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70% 기준 (2025년)
아래에서 가구원 수별로 자세한 기준을 확인할 수 있어요 👇
👤 1인 가구 보기
- 100% 기준: 약 3,598,715원
- 70% 기준: 약 2,519,000원
👉 월소득이 약 251만 원 이하면 자격 충족 가능
👨👩👦 2인 가구 보기
- 100% 기준: 약 5,477,003원
- 70% 기준: 약 3,834,000원
👉 월소득이 약 383만 원 이하면 자격 충족 가능
👨👩👧👦 3인 가구 보기
- 100% 기준: 약 7,626,973원
- 70% 기준: 약 5,339,000원
👉 월소득이 약 534만 원 이하면 자격 충족 가능
🏡 4인 가구 보기
- 100% 기준: 약 8,578,088원
- 70% 기준: 약 6,005,000원
👉 월소득이 약 600만 원 이하면 자격 충족 가능
👨👩👧👦👶 5인 이상 가구 보기
- 100% 기준: 약 9,128,000원 내외
- 70% 기준: 약 6,389,000원 내외
👉 월소득이 약 638만 원 이하면 자격 충족 가능
💡 맞벌이 가구는 기준이 90% 이하까지 완화되니 조금 더 여유 있게 생각해도 됩니다.
🏅 3. 선정 ‘우선순위’ 알아두기
지원 자격을 갖췄다고 모두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.
경쟁이 있을 때는 아래 우선순위로 선정돼요.
✅ 1순위 | 신생아 가구, 한부모, 다자녀, 장애인 가정 |
✅ 2순위 |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(태아 포함) |
✅ 3순위 | 무자녀 신혼부부 |
✅ 4순위 | 기타 조건 충족 가구 |
📌 출산 또는 자녀가 있는 가정이 훨씬 유리하니 참고하세요.
🏠 4. 어떤 집에 살 수 있나요?
대부분의 일반 주택이 가능해요. 꼭 공공임대일 필요는 없어요.
아파트 | ✅ 가능 |
다세대·다가구 | ✅ 가능 |
빌라·연립주택 | ✅ 가능 |
주거용 오피스텔 | ✅ 가능 (주거용 등록 필요) |
상가·사무실 등 비주거용 | ❌ 불가능 |
전대(재임차) 주택 | ❌ 불가능 |
📏 전용면적 85㎡ 이하가 원칙 (5인 이상 가구는 예외 가능)
💰 5. 지원 금액 & 비용 구조 (Ⅰ형 기준, 2025년)
2025년 기준 신혼·신생아 전세임대Ⅰ 지원 한도와 임대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수도권: 최대 1억 4,500만 원
- 광역시: 최대 1억 1,000만 원
- 기타 지역: 최대 9,500만 원
입주자는 전세금의 약 5%를 보증금으로 부담하고,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는 연 1.2% ~ 2.2% 수준의 저금리로 월 임대료를 내게 됩니다.
예를 들어 수도권 전세금이 1억 4,500만 원인 경우 아래와 같습니다.
- 보증금: 약 725만 원 (전세금의 약 5%)
- 월 임대료: 약 13만 원 ~ 25만 원 수준 (이자율 및 조건에 따라 다름)
임대 기간은 2년이며, 2년 단위로 최대 20년까지 연장할 수 있습니다.
※ 일부 지역에서는 전세금이 한도보다 높아도 초과분을 본인이 부담하면 계약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.
✅ 핵심 요약
- 초기 보증금 부담이 매우 낮음 (전세금의 약 5%)
- 시중 전세보다 훨씬 저렴한 월 임대료
- 장기 거주 가능 (최대 20년)
📅 6. 신청 기간 & 방법
📌 2025년 신청 일정 (수시 모집제)
- 9월 말 일시 중단 후, 10월 13일 ~ 12월 31일 재개
- 일부 지역은 상시모집 또는 별도 추가 공고 있음
✅ 신청 방법
1️⃣ LH 청약플러스 접속
2️⃣ 회원가입 및 로그인
3️⃣ ‘신혼·신생아 전세임대Ⅰ’ 선택
4️⃣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업로드
5️⃣ 자격 심사 → 순위별 선정 → 계약 → 입주
💡 팁: 공고마다 세부 조건이 다를 수 있으니 LH 홈페이지 공고문을 꼭 확인하세요.
🧾 7. 신청 전 체크리스트
✔ 무주택 세대주인가요?
✔ 혼인 7년 이내 또는 출산 2년 이내인가요?
✔ 소득·자산 기준 충족하나요?
✔ 희망 지역 전세금 한도 확인했나요?
✔ 공고일정(10~12월) 놓치지 않았나요?
🏁 마무리: 내 집 마련 전 ‘첫 단계’
“집 살 때까지 전세만이라도 안정적으로 살고 싶다”
그런 신혼부부나 초보 부모에게 신혼·신생아 전세임대Ⅰ는 최고의 선택이에요.
✅ 초기 자금 부담 ↓
✅ 전세 사기 위험 ↓
✅ 최대 20년까지 거주 가능
👉 조건만 맞으면 정말 좋은 제도이니, 올해 안에 꼭 한 번 신청해 보세요!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채기 참으면 큰일! 혈관·뇌 손상까지 올 수 있는 위험성 총정리 (0) | 2025.10.21 |
---|---|
상속 포기했는데 세금 고지서? 2026년부터 달라지는 '상속세 함정' 총정리 (0) | 2025.10.21 |
윈도우11 홈 vs 프로 완벽 비교|공통점부터 차이점, 상황별 추천까지 (0) | 2025.10.20 |
구스다운 vs 덕다운 완벽 비교|솜털·깃털 차이와 충전재 비율까지 총정리 (0) | 2025.10.20 |
암을 예방하는 8가지 생활 습관 | 건강한 세포를 지키는 최고의 방법 (0) | 2025.10.19 |